비전공자인 본인을 위한 클라우드 저장소 모를만한 개념 정복! 🔍
🧳 1. S3? 그냥 “인터넷 외장하드”예요
Amazon S3(Simple Storage Service)는 인터넷에 연결된 외장하드 같은 거다.
내 컴퓨터 말고, AWS 데이터센터 어딘가에 내 파일을 저장해주는 서비스다.
사진, 문서, 영상, 백업파일, 로그까지 뭐든 저장할 수 있다.
컴퓨터의 ‘폴더’에 저장하는 느낌 OK! 🙆
🪣 2. “버킷(Bucket)”이란?
💡 비유: 클라우드 창고 안의 큰 박스
S3 안에서 파일을 보관하려면 버킷이라는 큰 박스에 담아야 한다.
이 버킷 하나가 내 “클라우드 외장하드의 폴더”라고 생각하면 돼요.
- 버킷은 전 세계에서 이름이 유일해야 한다 (도메인처럼 <www.naver.com> 이 여러개가 없는 것 처럼).
- 버킷 만들기는 무료, 안에 넣는 파일 용량/요청/다운로드에 따라 과금됨.
🆔 3. ARN 주소? 그건 주소+주민번호
💡 비유: 버킷의 주소 & 신분증
ARN(Amazon Resource Name)은 AWS에서 리소스를 구분하는 고유한 식별자.
예를 들어, arn:aws:s3:::my-photo-bucket처럼 생겼다.
- 어디서 쓰냐면?“이 특정 버킷에만 접근할 수 있도록” 지정할 때 사용해요.
- IAM 정책, Lambda 설정 등에서
🌍 4. 리전(Region)? 저장소가 어디에 있냐는 얘기예요
💡 비유: 외장하드를 어느 나라에 보관할지 결정하는 것
- AWS는 전 세계에 **데이터센터(리전)**가 있어요. 서울, 도쿄, 오하이오 등등
- S3 버킷을 만들 때 어느 리전에 만들지 선택해요
🧠 왜 중요할까?
- 사용자랑 가까운 리전에 만들수록 속도 빠름
- 리전에 따라 요금도 조금씩 다를 수 있어요
📜 5. 엑세스 로깅? 누가 다녀갔는지 출입기록 남기는 거
💡 비유: 사무실 앞 출입문 로그북
- 누가, 언제, 어디서 내 S3 버킷에 접근했는지 기록을 남기는 기능이에요.
- 보안 감사, 이상 탐지, 사용자 사용 패턴 분석 등에 유용하죠.
💰 요금은?
- 로깅 자체는 무료!
- 다만 로그 파일도 S3에 저장되기 때문에 저장 요금이 발생해요.
🧰 6. 버킷에도 종류가 있다? (범용, 테이블, 디렉터리)
💡 비유: 일반 박스, 서랍장, 폴더 정리함
종류설명비유
범용 버킷 | 기본 버킷, 모든 유형의 데이터 저장 가능 | 일반 박스 |
테이블 버킷 | 키-값 형태 정형 데이터 저장 | 엑셀 표 서랍 |
디렉터리 버킷 | 계층 구조 명확, 폴더 기반 구조 | 컴퓨터의 폴더 시스템 |
요즘 추가된 개념이라, Express One Zone 구조에서 사용되고 있어요.
🎟 7. Access Grant? 파일 접근용 티켓
💡 비유: 파일을 꺼내볼 수 있는 “QR 티켓”을 외부 사람에게 발급
Access Grant는 IAM 같은 복잡한 권한 없이도 외부 사용자에게 파일 접근을 허용할 수 있는 기능이에요.
- 특정 파일에 대해 일회성 접근 권한을 발급할 수 있어요.
- 외부 애플리케이션이 S3에 직접 접근할 때 유용!
🪄 8. 배치 작업(Batch Operations)? 수천 개 파일을 한 번에 처리하는 마법
💡 비유: 박스 안의 수천 개 파일에 스탬프 찍기
- S3에 저장된 수천~수백만 개 파일에 대해
- 태그 붙이기, 저장 클래스 변경, Lambda 호출 등 자동화 작업 수행 가능!
예시:
- 특정 확장자 파일만 모아 옮기기
- 오래된 파일 전부 지우기
- 모든 객체에 공통 태그 붙이기 등
💰 과금은 처리 대상 객체 수에 따라 발생해요!
🤖 9. 지능형 계층화 아카이브? AI 비서가 저장비 절약 도와줌
💡 비유: “이 파일 요즘 안 쓰네요~ 싸게 저장소 옮길게요!”
- 자주 쓰는 파일은 빠른 스토리지에,
- 안 쓰는 파일은 자동으로 저렴한 아카이브 저장소로 옮겨주는 기능
- 사람이 일일이 옮기지 않아도 AWS가 자동으로 관리해줘요.
- 모니터링 비용은 약간 들지만, 장기적으로 보면 비용 절감 효과 큼! 💰
✅ 정리: S3, 이렇게 기억하세요!
개념 | 한 줄 요약 |
S3 | 클라우드 외장하드 |
버킷 | 파일 넣는 박스 |
ARN | 리소스 고유 주소 |
리전 | 박스를 어디 나라에 둘지 |
엑세스 로깅 | 누가 다녀갔는지 출입기록 |
버킷 타입 | 박스 구조 (일반/폴더/표형) |
Access Grant | 파일 열람용 QR 티켓 |
배치 작업 | 수천 개 파일 한 번에 처리 |
지능형 계층화 | 사용 패턴 따라 저장소 자동 정리 |
이 이상 모르는게 생기면 답글달아주시면 저도 한 번 공부하게 달아주십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