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와 같이 도메인 이름이 있다고 가정할 때
최상단의
. 이 Root 도메인
org 가 Top-level 도메인
wikipeida가 second 도메인
en 이 sub 도메인이 된다.
그림과 같이 Root 도메인은 Top-level 에 존재하는 com, org, net, uk 등의 도메인 이름과 그에 해당하는 IP주소를 가지고 있고 Top-Level 도메인인 org 는 wikipedia와 fsf 등의 도메인 이름에 해당하는 IP주소를 가지고 있다.
마찬기자로 Second 도메인인 wikipedia는 sco, en 등의 도메인 이름에 해당하는 IP소를 가지고 있다.
모든 컴퓨터는 Root 도메인의 IP 주소가 무엇인지만 알고 있다면 Root도메인을 통해 차차 내려가면서 전세계에 존재하는 수많은 도메인 Name에 해당하는 IP주소를 알아낼 수 있게 되는것이다.
위의 모든 과정이 3초안에 이루어진다.
Top-level Domain은 TLD
Second-level Domain 은 SLD 로 불리기도 한다.
도메인이 가질수 있는 단계의 수에는 제한이 없지만 단일 도메인이 4개이상의 단계를 가지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참고자료
https://ko.wikipedia.org/wiki/%EB%8F%84%EB%A9%94%EC%9D%B8_%EB%84%A4%EC%9E%84
도메인 네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온전한 자격을 갖춘 도메인 네임의 레이블 계층. 도메인 네임(Domain name, 문화어: 령역이름)은 넓은 의미로는 네트워크상에서 컴퓨터를 식별하는 호스트명을 가
ko.wikipedia.org
https://velog.io/@jisoolee11/%EB%8F%84%EB%A9%94%EC%9D%B8-%EB%84%A4%EC%9E%84%EC%9D%B4%EB%9E%80
도메인 네임이란?
백엔드 로드맵 따라가기5
velog.io
https://www.youtube.com/watch?v=2EIgPYRzVwY
도메인이란 무엇입니까? | Lenovo 코리아
...
www.lenovo.com
'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테스트는 왜 필요할까? 🛠 (0) | 2024.12.20 |
---|---|
호스팅이란? (0) | 2024.09.30 |
브라우저와 그 작동원리 (1) | 2024.09.29 |
HTTP란? (3) | 2024.09.27 |
DNS와 그 작동원리 (1) | 2024.09.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