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스팅이란?
호스팅이 무엇인지 알아보자.
호스팅
호스팅은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에게 웹사이트 파일과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고 전달하기 위한 서버 공간과 리소스를 제공하는 서비스다. 호스팅 제공자는 웹사이트와 애플리케이션을 온라인에서 액세스할 수 있도록 하는 데 필요한 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연결과 같은 인프라를 제공한다. 공유 호스팅(여러 웹사이트가 단일 서버를 공유하는 경우), 가상 사설 서버(VPS), 전용 호스팅(단일 서버가 한 사용자에게 전용되는 경우), 클라우드 호스팅(서버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확장 가능한 리소스를 제공하는 경우) 등 다양한 유형의 호스팅이 존재한다. 호스팅 서비스에는 종종 도메인 등록, 보안 기능, 기술 지원이 포함되어있다.
클라우드 호스팅 같은 경우 대표적으로 AWS와 Azure가 대표적인 예이다.
이미 구축된 서버의 가상 서버를 임대하여 사용하는 방식이고 가상서버이기 때문에 얼마든지
원하는대로 비용만 지불한다면 확장이 가능하다.
그래서 빠르게 성장하는 스타트업 같은 기업에서는 회사가 성장함에 따라
얼마든지 비용만 지불하고 확장이 가능하기에 많은 호응을 얻고 있기도 하다.
클라우드는 사용된 만큼 과금되기 때문에 비용이 다른 호스팅 옵션에 비해 많이 발생한다.
또한 저장소와 프론트엔드, 백엔드를 따로 관리하는 경우가 대부분인 클라우드 특성상
하나의 프로그램에 문제가 생기면 다른 프로그램에도 문제가 생긴다.
서버 호스팅 은 서버를 통째로 임대하여 사용하는 방식이다.
업체마다 다르기는 하지만 물리적인 서버를 관리하는 기술력까지
제공하는것이 일반적이다. 서버를 모두 임대하여
사용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보안성 측면에서 유리하고
기업의 인트라넷이나 DB구축에 유리하다. 웹 호스팅을 사용하기엔
대역폭이나 컴퓨팅 파워가 부족한 대형 웹사이트나 쇼핑몰의 경우에도
서버 호스팅 솔루션을 사용해 웹사이트를 구축할 수도 있다.
서버를 모두 임대하는 것이기 때문에 비용이 더 발생하고 관리할 인력도 필요하지만
안정성과 효율성을 추구하는 기업입장에서는 충분히 할만한 투자이기도 하다.
마지막으로 웹 호스팅이 무엇인지 알아보자.
웹호스팅은 업체의 서버중에서 일부만 임대하여 사용하는 방식이다.
서버 인프라를 따로 구축할 필요도 없고 이미 구축되어 있고, 잘 작동되고 있는
서버의 일부만을 임대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저렴한 편이다. 서버를 관리할 수 있는
인력이 없는 경우에도 유리한 솔루션이기도 하다. 서버를 관리하는 직원은 없지만
회사홈페이지를 구축해야 한다거나, 트래픽이 많지않은 웹사이트를 운영해야 하는 개인에게
적합한 솔루션이다.
하지만 사용하기 쉽고 독자적인 관리인력이 필요하지 않다는 장점은
일부사용자에게는 단점이다. 필요에 맞게 변형하고 다양하게 사용자화하여 사용하는
것이 힘들기 때문이다. 또한 서버의 일부만을 임대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대역폭이나 컴퓨팅 파워의 사용이 제한되어 대규모 웹사이트를 호스팅할 때는 적합하지
않다.
참고 자료 :
https://blog.naver.com/softmate1/223095395904
호스팅의 종류로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 웹호스팅, 서버호스팅, 클라우드 호스팅
다양한 호스팅 서비스 옵션 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3가지는 바로 웹 호스팅, 서버 호스팅, 클라우드 호...
blog.naver.com
Backend Developer Roadmap: What is Backend Development?
Learn what backend development is, what backend developers do and how to become one using our community-driven roadmap.
roadmap.sh
'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TDD란 무엇인가? (2) | 2024.12.26 |
---|---|
테스트는 왜 필요할까? 🛠 (0) | 2024.12.20 |
Domain Name 에 대해서 (1) | 2024.09.30 |
브라우저와 그 작동원리 (1) | 2024.09.29 |
HTTP란? (3) | 2024.09.27 |